모두들 바쁘게 움직이는 현대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 정신없이 살다보면 어느 날 갑자기 가슴답답 호흡곤란 한 증상을 느낄 때가 있습니다. 최근에는 이러한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이 더울 늘어난 것 같습니다.
이 시간에는 가습이 답답하고 호흡이 곤란해지는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가슴답답 호흡곤란 원인
가슴이 답답하고 호흡이 곤란한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물론 병원에 가서 진찰을 하고 치료를 하면 되겠지만 문제는 병원에 가서 진찰을 하면 아무 문제가 없다고 하는 경우입니다.
호흡을 하는 것은 폐가 팽창했다가 오므라드는 것으로 수축운동을 하여 몸속으로 공기를 빨아들이고 다시 내뱉는 활동입니다. 그런데 이 운동을 폐 스스로 할 수는 없고 폐 주위의 횡경막과 늑골의 움직임으로 수축운동을 하여 숨을 쉬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가슴답답 호흡곤란 이유는 병원에서 아무 이상이 없다고 했을 때 이 부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그렇다면 횡경막과 늑골과 관련하여 가슴이 답답하고 호흡이 곤란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1. 충분히 숨을 내 뱉지 못하게 되면 가슴이 답답해집니다. 사실상 공기가 몸속으로 들어와 온몸으로 보내져 자신의 역할을 다하면 밖으로 배출이 되고 새로운 공기가 들어와야 하는데 들어온 공기를 다 내뱉지 못한 상태에서 새로운 공기가 들어오면 가슴이 답답해지게 되는 것입니다. 이는 횡경막과 늑골 운동이 갖가지 스트레스 등으로 원활히 활동을 못하기 때문입니다.
2. 늑골과 횡경막 운동을 저해하는 요소로는 위장의 위치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이는 생활 습관 가운데 자세와 관계 되어 있습니다. 특히 잠을 잘 때 온몸을 웅크리고 잠을 잘 경우 내장이 압박을 받아 위의 위치가 옮겨지면서 늑골과 횡경막의 운동을 방해하게 됩니다.
가슴답답 호흡곤란 대처방법
1. 숨을 크게 내뱉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즉 심호흡을 의식적으로 자주 하는 습관이 가슴답답 호흡곤란 함을 해소할 수 있는 좋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
2.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횡경막과 늑골이 긴장을 하여 활동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될 수 있는 한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하고 스트레스 받은 일이 생기면 일을 잠깐 멈추고 편히 쉬면서 긴장을 풀어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3. 수면 시 웅크려 몸을 둥글게 말아서 자게 되면 내장에 압박이 가해지기 때문에 잠자는 자세를 교정해도 가슴답답 호흡곤란 증세를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오늘은 병원에 가도 이유를 알 수 없이 가슴이 답답하고 호흡이 곤란한 이유를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