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우리가 음식물을 섭취하게 되면 반드시 거쳐서 지나가는 식도의 역할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입을 통하여 음식물이 들어오게 되면 목 안쪽의 식도로 넘어가게 됩니다. 이 식도는 그 크기가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지름은 약2Cm 2Cm 정도 되며, 길이는 성인 기준 약 25Cm 가량 됩니다.
또한 두께는 4mm 정도로 된 관으로서 신체의 정 중앙으로 이어져 있어서 음식물을 위로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위까지 음식물을 보내는 시간은 액 6초 정도 걸린다고 합니다.
그런데 우리 목에는 음식물이 들어가는 식도가 있고 폐로 가는 기관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연결되어 있는 두기관이 서로의 역할에 따라 같은 입으로 공기와 음식물이 들어 와도 서로 구분하여 자신의 각 기관으로 보내게 되는데 그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식도와 기관의 활동
같이 연결되어 있는 식도와 기관의 역할을 살펴보면 먼저 식도는 음식물이 들어오기 전에는 식도를 감싸고 있는 근육으로 인해 항상 덮여져 있다가 음식물이 들어오면 열리게 됩니다. 그러면 기관은 어떻게 될까요?
반대로 기관은 항상 열려 있어서 공기가 폐로 들어오도록 하고 있는데 음식물이 들어오게 되면 기관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입구가 닫히게 됩니다. 따라서 기도와 식도는 서로의 역할에 따라 유기적으로 움직이고 있는 것입니다.
식도로 음식물이 들어오면 물구나무서기를 해도 음식물이 쏟아지지 않습니다. 이는 식도에서 근육이 수축되어 음식물을 이동시키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 기능이 제대로 작동을 하지 않게 되면 음식물이 역류를 하게 됩니다.
이런 경우를 역류성 식도염이라고 부르는데 역류성 식도염에 대하여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역류성 식도염
역류성 식도염은 닫여있어야할 식도의 출구가 제대로 닫여지지않아 위액이 식도 쪽으로 역류해 나와서 염증을 일으키는 증상을 말합니다.
위액의 성분은 강한 산성이기 때문에 음식물을 녹여 소화를 시키는 것인데 이렇게 강한 산성이 비어 있는 식도로 들어오게 되면 식도의 벽이 짓무르게 되고 이곳으로 세균이 침투하여 세포를 파괴시켜 역류성 식도염을 일으키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일단 역류성 식도염이 생기면 음식물 섭취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특히 단백질이 많은 식품 등은 이를 소화 시키기 위하여 위액의 분비를 촉진시키기 때문에 삼가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식도의 역할과 역류성 식도염에 대하여 간략히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건강백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성초 효능 (0) | 2022.12.26 |
---|---|
혈압 낮추는 방법 (0) | 2022.12.18 |
질근육강화운동 으로 질건강 지키세요 (0) | 2019.06.21 |
달 꿈 해몽 알아봅니다. (0) | 2019.06.19 |
치아의 성분과 질병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0) | 2019.04.01 |
복식호흡과 가슴호흡 (0) | 2019.03.30 |
여성 생식기의 역할을 알아봅니다 (0) | 2019.03.28 |
세정관 남성생식기의 정자공장 (0) | 2019.03.27 |
스파게티 와 올리브유 상관관계를 알아봅니다 (0) | 2019.01.11 |
파전 그리고 어패류 상관관계 (0) | 2019.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