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비염은 콧물이 멈추지 않고 계속 나온다거나 코가 막혀 호흡하기가 힘든 상태가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상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꽃가루 알레르기 라든 감기로 인한 비염이 많이 생기지만 감기도 안 걸리고 꽃가루도 없는 시기에 이러한 증상이 계속 된다면 만성비염을 의심해야 한다.
이번엔 이러한 만성비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만성비염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만성단순성 비염으로 급성비염이 만성화된 것이며, 또 하나는 비염증이 오래되어 콧속의 점막이 두꺼워져서 만성비후성비염이 된 경우이다.
또한 만성비염은 콧속 점막이 헌 상태가 오래 지속되어 바이러스와 세균감염으로 인한 급성비염이 반복적으로 일어나 시판 중인 점막 약을 장기간 사용하여 부작용으로 만성비염이 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시판중인 점막 약은 혈관을 수축시키는 약으로 즉시 효과는 볼 수 있으나 빈번하게 사용하게 되면 비강의 점막이 비대해져 만성비염으로 발전하는 것이다. 또한 만성비후성 비염은 비강을 좌우로 나누는 비벽이 왜곡되어 콧속이 넓어져 비강측 점막이 헐어서 만성비후성 비염이 되는 것이다.
이 외에도 콧속 염증이 오염된 공기와 기후조건에 따라 콧속에 쌓인 노폐물이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서 발생하는 경우도 있고, 당뇨병이나 간장병 등이 원인이 되어 합병증으로 발병하는 경우도 있다. 그렇다면 만성비염의 증상은 어떤 상태를 말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만성비염의 증상
만성비염의 주된 증상은 코막힘으로부터 시작해서 콧물이 목 안으로까지 흘러 들어가는 증상을 비롯해서 두통과 미각상실, 콧속 헐음, 코피 등 여러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코로 호흡하기가 힘들어서 항상 입을 벌리고 호흡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입안이 건조해져서 구취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코막힘이 장기간 지속됨으로 집중력과 주의력이 떨어지게 되어 불의의 사고를 당 할 위험성이 있다. 만성비염의 경우 일반적으로 급격히 악화되지는 않지만 치료를 하지 않고 방치 해 두면 부비강염 이라고도 하는 축농증으로 이어질 수 도 있기 때문에 치료를 게을리 해서는 안 된다. 그렇다면 치료는 어떻게 할 수 있을까? 이에 대해 알아보자.
만성비염의 치료방법
만성이라고 하더라도 단순한 비염이라면 내복약만으로도 치료가 가능하며 대부분의 경우 스테로이드 스프레이를 코에 정기적으로 뿌려주는것으로 효과를 볼 수도 있다. 최근에는 스테로이드가 많이 좋아 져서 장기적으로 사용해도 큰 무리가 없고 치료효과도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알러지성 비염을 동반한 경우에는 항알러지 약을 함께 복용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리고 비후성비염을 치료할 때에는 혈관수축약으로만은 치료하기가 어렵고 상태에 따라 수술을 해야 한다. 특히 비강이 왜곡되어 있는 경우에는 비강교정수술과 함께 비염 수술을 해주는 것이 효과가 있다. 수술방법은 레이저로 비대해진 점막을 제거하는 것으로 비교적 간단이 시술을 할 수 있다. 이제 이러한 치료를 하기 전에 중요한 사전에 비염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만성비염의 예방대책
만성비염은 일반 단순비염에 비해 치료하기도 어렵고 시간도 오래 걸린다.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비염은 꽃가루라든가 감기, 알러지 등이 원인이 되서 생기기가 쉬우며 이렇게 생긴 비염이 만성비염으로 되는 경향이 많으므로 무엇보다도 만성비염으로 진행되지 않도록 체질개선이 필요하다.
체질개선을 위해서는 우선 꽃가루에 의하여 비염이 잘 걸리는 사람은 평소에 녹차를 많이 마시면 좋다. 녹차에 포함된 폴리페놀과 카테킨은 히스타민을 억제하는 기능 즉 항알러지 기능이 있어서 비염으로 인한 알러지를 감소 시켜준다. 이외에도 비염을 억제하는 성분이 들어 있는 차종류가 몇 개 있는데 이를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다. 얼룩릿대를 다려서 차로마시면 강한 항군력과 면역력을 가지고 있어서 예로부터 많아 사용되었다. 다음으로 붉은 자색을 띠는 차조기는 천연 스테로이드라고도 불리며 여기에 포함된 폴리페놀의 일종인 로즈마린산은 비염을 가볍게 해준다.
위에서 언급한 차는 한방약과 가까운 차종류이므로 마시기엔 약간 쓴맛이 있으나 비염예방에는 탁월한 효과를 지닌 것으로 알려졌으니 알아두었다가 비염을 예방하는데 사용하면 좋을 것이다.
'건강백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근 경색증이란? (0) | 2017.08.31 |
---|---|
폐결핵 증상과 대처법 (0) | 2017.08.31 |
어깨결림(오십견)의 원인과대처법 (0) | 2017.08.31 |
복부 대동맥류 (0) | 2017.08.30 |
아토피성 피부염의 원인 (0) | 2017.08.30 |
불면증의 원인과 치료법 (0) | 2017.08.29 |
터널증후군 (0) | 2017.08.28 |
이명증의 원인과 치료법 (0) | 2017.08.28 |
우울증의 원인과 치료방법 (0) | 2017.08.27 |
당뇨병이란 무엇인가? (0) | 2017.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