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 무호흡증은 말 그대로 잠을 자고 있는 동안 여러 번 호흡이 멈추는 질병을 말합니다.
영어로는 Sleep Apnea Syndrome 이라고 해서 그 앞 글자를 따서 SAS라고 합니다. 이는 수면 중 평균 1시간에 5회 이상 그리고 각각 10초 이상 호흡이 멈추는 경우 수면 무호흡증 가능성이 있습니다.
수면 무호흡증은 단순히 일시적으로 호흡이 멈추는 것만으로 끝나는 병이 아닙니다. 이 병에 걸리게 되면 심장과, 뇌, 그리고 혈관에 부담을 주기 때문에 수면 무호흡증이 있다는 그 자체 만으로도 고혈압, 협심증, 심근경색 등 순환기 질환의 합병증을 유발 할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무서운 인자를 가지고 있는 수면 무호흡증의 징조는 무엇일까요? 그것은 바로 코골이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코골이는 수면 무호흡증의 전조입니다. 사실상 수면 무호흡증은 코골이 외에 자각증상이 거의 없습니다. 가끔은 낮잠을 자는 동안 자신이 숨을 멈춘다는 아는 사람이 있기는 하지만 이는 매우 드문 경우입니다. 따라서 주위 사람이 본인이 자고 있을 때 코골이가 심하다고 지적을 하면 진찰을 받아보는 것도 이 병의 예방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수면무호흡증은 크게 2종류로 나눕니다. 하나는 '폐쇄성' 이고 또 하나는 '중추성' 입니다.
그렇다면 '폐쇄성' 은 무엇이고 '중추성' 은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1. 폐쇄성
폐쇄성은 위쪽 기도 어딘가에 막힘이 있어서 숨을 쉬는 것을 방해하고 있는 것을 말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서 기도가 막히게 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사람은 보통 잠을 잘 때는 천정을 보고 눕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위를 향하고 눕게 되면 중력의 영향으로 혀가 목 안쪽으로 약간 들어가게 됩니다. 이 때 혀 주위에 지방이 많은 사람은 기도 자체가 좁아 져있는데 혀가 기도를 막게 됩니다. 따라서 숨을 쉴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비만인 사람에게서 이러한 증상이 많이 나타나지만 비만하지 않더라도 턱이 작고 평소에 코를 잘 흘리는 사람은 '폐쇄성"의 의심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중추성
중추성은 호흡 자체가 정지 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즉 중추성은 뇌에서 호흡 신호를 보내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기도와는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즉 코골이와는 상관이 없다는 것입니다. 아직까지 그 원인을 정확히 파악은 못하고 있는데 다만 중추신경에 문제가 생겨서 잠을 자는 동안 뇌로부터 신호자체가 순간적으로 끊어져서 일어나는 현상으로만 보고 되어있습니다.
다음은 수면무호흡증과 순환기관련 질병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폐쇄성의 경우에는 혈관 질환과 밀법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1. 고혈압 : 폐쇄성 자체가 고혈압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폐쇄성환자 50%가 고혈압 환자로 보고되어 있습니다.
2. 심장마비 : 폐쇄성은 심장에 부담을 주어 심장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실제 심부전 환자의 약12%가 합병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와 있습니다.
3. 뇌졸중 : 수면 무호흡 환자에게서 그렇지 않은 사람과 비교하여 4배의 위험지수가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4. 부정맥 : 무호흡과 저호흡의 반복으로 산소 부족으로 인한 부정맥이 환자의 50%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5. 협심증 : 폐쇄성 환자의 합병증 비율이 최고 7배로 보고 되어 있습니다.
중추성의 경우에는 심장마비와 심장기능 저하로 인한 뇌졸중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무서운 수면무호흡증의 진단은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간이수면 모니터로 측정을 하게 됩니다. 이 검사에서 뇌파와 수면상태를 분석하여 수면무호흡증을 판단하게 됩니다.
수면무호흡증의 치료
1. 폐쇄성 : 폐쇄성은 체중감량과 지속적인 양압호흡치료(구강내설치)와 수술로 치료가 가능합니다. 또한 생활습관의 개선으로도 치료가 가능한데 음주와 수면제사용을 금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2. 중추성: 중추성은 심부전 등 순환기 질환을 치료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으므로 순환기 질환을 먼저 검토 해보아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중추성은 다른 질병으로 인한 수면 무호흡증 이므로 그 원인만 제거하면 되고 일반적인 수면 무호흡증인 폐쇄성은 코골이를 개선하게 되면 고칠 수 있는 병이므로 코를 심하게 고는 사람은 늦기 전에 진찰을 받아 초기에 코골이를 고치게 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건강백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린이 야뇨증의 원인 (0) | 2017.09.16 |
---|---|
다래끼의 원인과치료 (0) | 2017.09.15 |
구내염의원인과치료 (0) | 2017.09.14 |
축농증의원인과치료 (0) | 2017.09.13 |
탈모의전조증상 (0) | 2017.09.12 |
쯔쯔가무시병 증상 (0) | 2017.09.10 |
사타구니습진연고 (0) | 2017.09.09 |
위장병에 좋은음식 알기 (0) | 2017.09.08 |
흉부대동맥 (0) | 2017.09.07 |
담석증증상 (0) | 2017.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