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두통은 일상 생활에서 매우 빈번하게 일어나는 지병으로 편두통을 수 십년간 지속적으로 앓고 있는 사람도 있다. 편두통은 일반적으로 신경을 많이 쓰지 않는 병이기 때문에 보통은 피로가 많이 쌓이거나 계절과 날씨의 변화에 따라 생기는 사람도 있는데 사실 편두통이 발생을 하면 그 통증으로 일상 생활에 지장을 많이 가져다 준다. 여기 에서는 이러한 편두통에서 해방되어 기분좋은 일상 생활을 영위 하기 위하여 편두통의 원인과 치료방법에 대하여 생각해 보고자 한다.
편두통이 일어나는 원인
편두통이 일어나는 원인은 일반적으로 머릿 쪽 혈관의 팽창으로 인하여 일어나는 경우가 많이 있다. 혈관이 팽창하는 요인으로는 머릿쪽의 혈류가 증대하게 되면 혈관이 팽창하여 그 주위를 둘러 싸고 있는 뇌의 가장 큰 신경인 삼차신경이 압박을 받아 자극을 받게되는데 이 자극으로 말마암아 통증을 일으키는 염증 물질이 방출 되는데 이 염증 물질로 인하여 두통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발생 된 두통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는데 첫째 유형은 근육의 긴장으로 발생하는 '근육 긴장형 두통' 이 있고 두번째 유형은 머리에서 열이나고 혈류의 증가로 발생하는 일반적인 편두통 이다. 따라서 증상에 따라 그 처치법도 달리 하여야 한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편두통을 효과 빠르게 바로 처치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바로 효과를 볼 수 있는 편두통 치료방법
편두통이 발생하였을 때 바로 효과를 볼 수 있는 처치방법에 대하여 몇 가지 소개 하고자 한다.
1. 무엇 보다도 그 자리에서 바로 통증을 완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은 냉찜질을 들 수 있다. 얼음이나 차가운 물로 통증이 있는 부분에 찜질을 하게 되면 팽창한 혈관이 수축이 되어 통증을 억 누를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목 뒤쪽 부분을 차갑게 해주면 좋은데 이는 목 뒤쪽에는 두껍고 긴 경 동맥이 지나가고 있어서 그곳을 차갑게 해 주면 머릿쪽으로 보내지는 혈액이 차가워져서 머리 전체의 혈관을 수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효과를 바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주의사항이 있는데 머리를 다시 따듯하게 하게 되면 혈관이 다시 확장되어 오히려 두통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편두통이 있는 경우에는 따듯한 물로 머리를 감는다든가 헤어드라이어를 사용하는 등 머리부분이 따듯해 지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이고 머리를 식혀서 두통이 완화 된 다음에는 약물을 투여한다든가 후속 조치를 바로 취해야 한다.
또한 두통의 종류가 위에서 언급한 긴장형 두통인 경우에는 편두통과 반대로 통증부분을 따듯하게 해 주어야한다. 이런 경우는 차갑게 하면 오히려 통증이 악화 될 수 있으므로 부위에 따라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다.
2. 혈점을 자극한다. 편두통의 원인으로는 혈관의 확장과 함께 자율신경의 흐트러짐이 일어나 자율신경이 혼란하여 일어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여러가지 스트레스로 인하여 교감신경이 과민하게 되어 신경을 자극하면서 일어나는 편두통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자율신경의 부조에 의한 편두통은 자율신경에 해당하는 혈을 자극하여 균형을 맞추어 주면 개선이 되는데 여기에서는 편두통에 효과가 있는 혈에 대하여 설명을 하고자 한다.
1) 머리 중앙부분 : 머리 중앙부분은 양쪽 귀로부터 머리로 이어지는 선을 따라 올라가 교차지점을 찾아 그 혈을 눌러주면 되는데 누를 때 너무 세게 누르면 안되고 지긋히 여러번 눌러 주어야 한다.
이 곳을 누르면 편두통 뿐만 아니라 긴장형 두통에도 효과를 볼 수 있다.
2) 양쪽 귀 뒷부분 : 양쪽 귀 뒷부분에는 약간 돌출 된 뼈가 있다 이 부분을 지긋이 눌러주면 편두통 뿐만 아니라 머리 전체의 두통에도 효과가 있다.
3) 손등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 사이의 움푹 패인곳 : 이곳을 눌러주면 편두통에 효과가 있는데 이곳은 약간 강하게 수차례 눌러주어야 한다.
4) 머리를 수건 등으로 둘러 매준다 : 편두통이 심할 때 응급 처치로 좋은 방법으로서 머리를 수건으로 동여매게 되면 머릿쪽 혈관을 압박 시킬수 있게 되기 때문에 혈액의 흐름을 정체시키는 것으로 두통을 완화 시킬 수 있다. 수건이 없을 때는 가는 철사나 끈으로 동여 매도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5) 관자놀이에 있는 혈관을 압박한다: 관자놀이에 있는 혈관을 손가락으로 압박을 하게 되면 일시적으로 두통이 완화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6) 복식 호흡을 한다 : 복식 호흡을 하게 되면 편두통의 원인인 흐트러진 자율신경을 안정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두통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볼 수 있는데 복식 호흡을 하는 방법은 먼저 배꼽 주위에 힘을 주고 4~5초 정도 코로 숨을 들이 마신 다음 마신 시간의 두배 (8~10초) 에 걸쳐 천천히 숨을 내뱉으면 된다. 이러한 행동을 호흡과 맥박이 안정될 때가지 반복 적으로 행한다.
이상 편두통의 원인과 치료방법에 대하여 알아 보았다. 위의 사항을 잘 숙지 해 두었다가 편두통이 일어날 때 응급 처치로 사용하면 생활에 도움이 될 것이다.
'건강백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석증증상 (0) | 2017.09.06 |
---|---|
심근염 (0) | 2017.09.06 |
기립성저혈압이란? (0) | 2017.09.05 |
눈꺼풀 떨림 (0) | 2017.09.05 |
귀아플때 (0) | 2017.09.04 |
급성 신장병과 만성 신장병 (0) | 2017.09.03 |
위 십이지장궤양에 대하여 (0) | 2017.09.03 |
위궤양의 원인과 치료방법 (0) | 2017.09.03 |
무릎통증의 원인과 치료 (0) | 2017.09.02 |
안구 건조증이란? (0) | 2017.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