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수명의 연장과 함께 고령화 사회에 접어 들면서 노인성 질환인 치매에 관한 관심이 그 어느때보다 높아지고 있습니다. 치매는 알츠하이머성 치매와 뇌 혈관성 치매가 있는데 여기에서는 후자를 다루기로 하겠습니다.
뇌 혈관성 치매는 알츠하이머성 치매에 이어 환자가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는 뇌 경색이나 뇌 출혈 등으로 뇌의 혈관이 막히거나 출혈하는 것을 말합니다. 또한 뇌세포에 산소와 영양이 제대로 공급이 안되어 세포가 망가져서 각 세포가 맡고 있던 기능을 상실하면서 치매가 일어나게 되는 것입니다. 특히 혈관에 병을 일으키는 원인은 동맥경화입니다. 동맥경화의 위험 요인으로서는 고혈압, 당뇨병, 심장질환과 흡연을 들 수 있습니다. 또한 생활습관으로도 야기 될 수 있으며 성비는 남성이 여성에 비해 훨신 많이 일어납니다.
뇌 혈관성 치매 증상의 특징
뇌 혈관성 치매의 특징은 뇌경색, 뇌출혈 등 뇌혈관의 장애로 인하여 망가진 세포가 그 기능을 발휘 하지 못하여 건망증이 심해지거나 계산을 잘 못하는 경향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환자가 그동안 쌓아온 전문지식과 판단력은 유지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뇌의 정상적인 부분은 그 기능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장애가 있는 부분과 판단력 같은 부분이 남아 있는, 능력이 있는 상태를 "얼룩치매" 라고 합니다. 이러한 얼룩치매는 아무 의욕도 없이 멍하게 있다가 어느 순간 갑자기 정상적으로 돌아와 정상인 처럼 행동하기도 합니다. 이런 상태가 하루에도 몇번씩 일어나곤 하는데 이러한 상태를 간호하는 사람은 미리 알고 있어야 합니다. 특히 이런 경우에는 감정을 컨트롤 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울거나 화를 내거나 합니다. 예를 들어 "오늘은 날씨도 좋고 기분도 좋구나" 라는 말만 들어도 울어버리는 경향이 있고 슬프지 않아도 눈물을 흘린다던가 웃는얼굴을 하고 있어서 기분이 좋을 때도 말을 걸면 갑자기 화를 내는 경우도 자주 있습니다. 그 외에도 여러가지 증상이 나타나는데 운동신경이 마비되어 감각마비, 보행장애, 언어장애, 배뇨장애 등 이러한 증상은 일반 알츠하이머성 치매와 같습니다. 다만 뇌의 장애를 받은 부위에 의해서 나타나는 증삼만 다를 뿐입니다.
뇌 혈관성 치매환자 대응법
뇌질환 환자의 경우 자신이 치매라는 사실을 실질적으로 알고 있기 때문에 특별한 배려가 필요합니다.
첫째 이 분들은 초기 단계에 있어서는 대부분 자신이 치매라는 사실을 인지 하고 있기 때문에 본인 스스로 이를 부정하고 싶어합니다. 따라서 ' 이정도도 안되니?' '왜 모르니' 등의 말을 던지며 본인이 치매가 아니라는것을 억지로 강조하는 경향이 나타납니다. 이는 스스로 치매를 자각하는것으로 본인에게 있어서는 매우 힘든 상황일 것입니다. 따라서 이렇게 힘든 상황에 처해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고 언동에 주의를 기울여야합니다.
둘째 뇌 혈광성 치매는 발병 이후 점차 신체기능이 떨어지고 누워 있어야만 하는 상태가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간병을 하는데 있어서 집이나 요양시설 등 지내는 장소를 잘 선택해서 환자가 영양공급을 제대로받게 함과 동시에 응급 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셋째 환자는 뇌 혈관 장애로 인하여 마비증세로 신체기능이 낮아지게 되면 보행도 어려워지고 배뇨장애로 요실금도 보이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환자의 가족이 간병을 하다가 함께 지쳐서 포기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그러므로 그렇게 되기 전에 지역포괄지원센터에 상담하고 케어를 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이상으로 뇌 혈관성 치매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 무엇보다도 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잘못 된 생활 습관을 고치고 치매의 원인이 되는 뇌경색 등에 걸리지 않도록 주의를 하는것이 최선의 방법입니다. 즉 뇌경색이나 뇌출혈 의 원인은 생활습관에 의한것이 많습니다. 따라서 균형잡힌 식사를 하고 적당한 운동을 규칙적으로 해야함은 물론 특히 혈당치가 높은 사람은 정기적으로 진찰을 받아서 당뇨병이 되지 않도록 주의를 해야할 것입니다.
'건강백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성비염의 원인과 치료방법 (0) | 2017.08.29 |
---|---|
불면증의 원인과 치료법 (0) | 2017.08.29 |
터널증후군 (0) | 2017.08.28 |
이명증의 원인과 치료법 (0) | 2017.08.28 |
우울증의 원인과 치료방법 (0) | 2017.08.27 |
당뇨병이란 무엇인가? (0) | 2017.08.27 |
위염에 좋은 음식 (0) | 2017.08.26 |
치주염 예방과 치료에 도움이 되는 음식 (0) | 2017.08.26 |
뇌 건강에 좋은 음식 (0) | 2017.08.26 |
관절에 도움이 되는음식 (0) | 2017.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