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운 여름도 지나가고 선선한 바람이 살랑살랑 불어오는 9월 가을이 시작되었습니다.
짧은 가을이 지나고 나면 금방 겨울이 찾아 올 텐데 건강에 있어서, 겨울 하면 빼놓을 수 없는 것이 감기 입니다. 특히 노약자는 감기보다 한층 독한 독감이 걱정인데요. 조금 있으면 독감 예방주사를 맞으라고 난리 법석을 떨 것이 분명합니다. 그런데 과연 그 독감백신이 효과가 있을 까요? 효과가 있다면 얼마나 지속이 되기에 가을부터 독감 예방주사를 놓기 시작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독감은 일반 감기보다 증상이 훨씬 심한 것이 특징입니다. 독감 인플루엔자에 걸리게 되면은 열이 38도 이상 올라가고 두통과 관절통이 나타나며 온몸이 으슬으슬 떨리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특히 어린이나 고령자 에게는 이 증상이 심해지게 되면 사망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아주 무서운 병이기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렇게 무서운 독감을 예방하기 위해서 미리미리 예방주사를 맞으면 독감에 안 걸린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정말로 예방주사를 맞으면 독감에 안 걸릴까요?
인간의 신체는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면 이를 격퇴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감염된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항체라고 하는 물질이 만들어 집니다. 따라서 재차 똑같은 바이러스가 몸에 침투하게 되면 이 항체가 바이러스를 격퇴 시킵니다. 이것을 면역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한번 경험한 것을 몸이 기억 해두었다가 다시 반복 되지 않도록 하는 대단한 기능인 것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면역을 이용하여 예방접종을 하는 것입니다.
즉 과학적으로 처리를 하여 감염성을 없앤 독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백신 이라고 부릅니다. 이러한 백신을 신체에 주입 시켜서 항체를 만들어 독감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을 높이는 것입니다.
이렇게 몸속으로 주입된 백신이 항체가 되어 독감 바이러스가 들어오면 작용을 하여 독감을 물리친다는 원리 입니다. 독감 바이러스에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이러스와 새로이 생겨나는 신종 바이러스 등 그 종류가 다양합니다. 해마다 그 해에 따라 유행하는 독감의 유형을 예상하여 백신을 만들게 됩니다.
신종 바이러스가 아닌 일반적인 독감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3종류의 혼합 백신인 pdm09 가 효과를 발휘 합니다. 최근에는 예상하는 기술도 많이 발달하여 예상을 벗어나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그런데 과연 그 효과가 확실히 입증이 된 것일까요 ? 최근 몇 년간 독감 예방주사를 맞고도 독감에 걸렸다는 이야기를 많이 듣습니다.
조사에 의하면 실제로 예방주사를 맞고 예방 효과를 보았다고 하는 통계는 60~70%로 나와 있습니다. 100명중 6~70명만 효과를 보고 나머지는 효과를 못 보았다는 이야기 인데 사실은 이 보다 훨씬 많다고 보아야 합니다. 왜냐하면 백신을 맞으면 심리적으로 안심이 되기 때문에 그렇게 느끼는 사람도 많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예방접종을 전혀 받지 않은 사람 100명과 예방접종을 받은 사람 100명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팀에서 50명이 독감에 걸렸고 예방접종을 받은 팀에서는 20명이 독감에 걸렸습니다. 따라서 이 결과를 가지고 60%의 효과가 있다고 하는 것입니다. 어찌하였건 중요한 것은 모든 사람에게 효과가 있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 결과입니다.
그렇다면 예방접종을 한 후 그 기간이 얼마나 가는가도 문제입니다. 가을에 예방접종을 해놓으면은 3~ 5개월은 예방 효과가 지속이 돼야 한겨울에도 독감에 걸리지 않게 된다는 이야기가 나오는데 과연 그 기간이 얼마나 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독감 예방주사를 맞게 되면 그 항체가 생기기까지는 보통 1~2주 정도 걸립니다. 이 말은 미리 접종을 하지 않고 독감이 이미 유행하고 있을 때 주사를 맞아도 아무런 소용이 없다는 이야기가 되는 겁니다. 거기에다가 독감 바이러스는 잠복기를 가지고 있는데 보통 하루에서 7일 정도의 잠복 기간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잠복기에는 약을 쓰거나 주사를 놓아도 아무런 효과가 없는 것입니다. 따라서 수개월 전에 미리 예방 주사를 맞는 것입니다.
독감 예방주사는 일반적으로 그 유효 기간이 5개월로 알려져 있으며 독감은 12월경 시작해서 1~3월까지가 피크로 알려져 있습니다. 예방효과가 있는 항체를 생성하기 까지는 약 2주간이 걸린다고 계산을 하고 12월 전까지는 예방 접종을 끝마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이는 해마다 새롭게 접종을 해야지 한번 접종을 했다고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다가오는 겨울을 독감에 걸리지 않고 잘 보낼 수 있도록 보건소나 병원에서 실시하는 예방 접종 날짜를 미리미리 체크해 놓았다가 독감 예방 접종을 하고 건강한 겨울을 맞이하시기 바랍니다.
'건강백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성 신장병과 만성 신장병 (0) | 2017.09.03 |
---|---|
위 십이지장궤양에 대하여 (0) | 2017.09.03 |
위궤양의 원인과 치료방법 (0) | 2017.09.03 |
무릎통증의 원인과 치료 (0) | 2017.09.02 |
안구 건조증이란? (0) | 2017.09.02 |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란 어떤병인가? (0) | 2017.09.01 |
재생 불량성 빈혈의 원인과 치료법 (0) | 2017.09.01 |
심근 경색증이란? (0) | 2017.08.31 |
폐결핵 증상과 대처법 (0) | 2017.08.31 |
어깨결림(오십견)의 원인과대처법 (0) | 2017.08.31 |